쓰다_logo.png
  • 처음으로

  • 수업 공지

  • 문장의 숲

  • 쓰기쓰기

  • 상담 예약

  • 더 보기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수업문의배너.png
    파이 이야기
    • 6일 전
    • 2분

    파이 이야기

    김승모 파이 이야기는 두 가지 주제를 전해준다. 첫 번째는 아무리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라도 최선을 다하고 포기하지 않으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이의 가족은 인도에서 캐나다로 배를 타사 가던 중 배가 폭발하는 사고를...
    댓글 0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6일 전
    • 2분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김도윤 사람들은 살아가다 보면 자신보다 높은 위치에서 더 많은 권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만난다. 하지만 모든 권력이 언제나 정당한 것은 아니다. 때로는 부정하거나 부패한 권력을 마주하기도 한다.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서는 부당한...
    댓글 0개
    이반 일리치의 죽음
    • 6월 5일
    • 3분

    이반 일리치의 죽음

    임지유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당신은 과연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있는가? 잘 살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은 헛된 것들을 좇는 중은 아닌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가치있고 의미있는 삶은 나와 잘 맞고 배울 점도 많은 친구나 나를 진심으로 아끼고...
    댓글 0개
    그림들
    • 6월 5일
    • 2분

    그림들

    김우조 "말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림을 그릴 이유가 없다." 사실주의의 대가 에드워드 호퍼가 한 말이다. 에드워드 호퍼는 예술가가 그림을 그리는 이유를 자기 말로 표현했다. 나는 이 책을 읽기 전에는 회화에 담긴 작가들의 생각에 집중하지 않고,...
    댓글 0개
    '그들은 원래 우리와 달라'라는 거짓말
    • 5월 17일
    • 2분

    '그들은 원래 우리와 달라'라는 거짓말

    임지유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아시아인 혐오부터 2020년 여름 미국을 뜨겁게 달구웠던 #BlackLivesMatter 시위까지, 세계는 여전히 인종차별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인종차별주의자들은 인종에 따라 인간의 우월함이나 열등함이...
    댓글 0개
    아동 노동 계속 되어야 할까?
    • 5월 17일
    • 2분

    아동 노동 계속 되어야 할까?

    박서정 7살 정도밖에 되어 보이지 않는 한 어린이가 카카오 농장에서 땀을 흘리며 카카오를 재배한다. 조그만한 몸집에 뼈밖에 없는 얇은 팔과 다리, 그리고 온몸에 있는 상처. 이것은 바로 우리 사회의 아동노동의 실태이다. 2019년 워싱턴포스트...
    댓글 0개
    당신이 남긴 증오
    • 5월 5일
    • 2분

    당신이 남긴 증오

    김우조 "우리는 증거 자료와 목격자의 진술을 바탕으로 수사했고, 해당 경찰은 체포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입니다." 과잉진압으로 흑인을 죽인 백인 경찰에 대해 백인들은 위와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당신이 남긴 증오>는 인종차별의...
    댓글 0개
    뉴스 사용 설명서
    • 5월 5일
    • 3분

    뉴스 사용 설명서

    임지유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이 뒤엉켜 정보의 소용돌이를 만들어내는 세상. 우리는 이런 곳에서 하루하루 살고 있다. 이 소용돌이 속, 중심을 지키고 이리저리 휘둘리지 않으려면 꼭 필요한 하나의 능력이 있다. 바로 미디어 리터러시이다....
    댓글 0개
    동물 농장
    • 5월 4일
    • 2분

    동물 농장

    김도윤 동물농장은 인민(국민)들의 교육 수준이 낮으면 조작되고 왜곡된 정보와 여론에 현혹 될 수밖에 없다고 말해준다. 동물들을 부려먹고 식량도 제대로 주지 않는 존스에게 화가 난 동물들은 완벽히 평등한 유토피아를 꿈꾸며 돼지들을 중심으로...
    댓글 0개
    1984
    • 4월 26일
    • 2분

    1984

    김도윤 <1984>는 인간은 폭력, 선동, 공포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주인공 윈스턴이 사는 오세아니아에서는 사랑은 금지된다. 하지만 윈스턴은 줄리아와 사랑을 하다 발각되고, 애정부에 끌려간다. 그는 배신하지 않겠다고 줄리아와...
    댓글 0개
    이카보그
    • 4월 9일
    • 2분

    이카보그

    이수안 모든 사람은 거짓말을 한다. 그리고 어떤 거짓말은 거짓말을 낳고, 그 거짓말은 원치 않는 결과를 부른다. 아주 작은 거짓말도 매우 다른 결과를 만들어낸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계속 거짓말을 한다. 거짓말을 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댓글 0개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4월 1일
    • 2분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임지유 나는 지금까지 물질적으로 풍족하게 살았다. 먹을 것이 없어서 배고팠던 적이 한 번도 없었고, 사고 싶은 물건이 생길 때마다 충분히 살 수 있었다. 그래서 기아 문제는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쉽게 와 닿지 않았고 꼭 내가 신경쓸 필요가 없다고...
    댓글 0개
    비밀의 화원
    • 3월 22일
    • 1분

    비밀의 화원

    강주은 비밀의 화원은 용기를 북돋아주고 믿어주는 사람이 진정한 친구라는 것을 말해준다. 책에서 진정한 친구는 메리다. 왜냐하면 메리는 곧 곱사등이가 되고 등에 혹이 생겼다고 생각하는 콜린, 마사의 동생 디콘과 함께 비밀의 뜰을 가꾸면서 밝고...
    댓글 0개
    노인과 바다
    • 3월 17일
    • 2분

    노인과 바다

    임지유 ‘노인과 바다’를 읽고 패배를 생각했다. 주인공인 늙은 어부 산티아고는 고기를 못 잡은 지 85일째 되는 날 먼바다에 나가 커다란 청새치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청새치를 작살로 찌르는 데 성공하고 집에 돌아가는 길에 상어 떼에게...
    댓글 0개
    모모
    • 3월 15일
    • 3분

    모모

    김승모 모모는 시간을 너무 빡빡하게 쓰면 안된다는 메시지를 전해준다. 즉, 시간을 아주 계획적으로 쓰고 1분 1초도 아끼면서 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해준다. '모모'에는 회색 신사라는 악당이 있다. 회색 신사들은 사람들에게서 시간을...
    댓글 0개
    아기 도깨비와 오토제국
    • 3월 14일
    • 1분

    아기 도깨비와 오토제국

    김도윤 "네, 그냥 가보는 거지요. 사람들이 모두 가니까요." 이 대사는 <아기도깨비와 오토제국>에서 루루와 오치구박사의 일행을 따라가는 사람들 중 한 청년이 한 말이다. 이 대사는 다른 사람들이 한다고 해서 그것이 무조건 맞는다고 여기는 나의...
    댓글 0개
    페스트
    • 3월 11일
    • 2분

    페스트

    김우조 페스트는 어떤 재난이 위협할지라도 희망을 잃지 않는 구성원의 연대와 연합만이 재난 상황을 뛰어넘을 수 있는 유일한 힘이라는 것이라는걸 알려준다. 194X 년, 해안도시 오랑에서 죽은 쥐가 발견되기 시작한다. 이 쥐들은 페스트라는 질병을...
    댓글 0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3월 11일
    • 1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지연 "내 기분은 내가 정해. 오늘의 나는 행복으로 할래","내 문제점은 그거야. 스스로에게 좋은 충고를 해주지만 거의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실천력을 말해준다. 앨리스는 모험에서 단지 생각만 한게...
    댓글 0개
    아름다운 아이
    • 3월 9일
    • 2분

    아름다운 아이

    박서정 이 책은 선천적 안면 기형으로 태어난 어거스트가1년 동안 학교생활을 하면서 적응해나가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어거스트는 얼굴 때문에 아이들에게 차별을 많이 받지만 그것을 잘 극복하고,그 과정에서 성장하면서 나중에 종업식에서 헨리 워드 비처...
    댓글 0개
    기억 전달자
    • 3월 9일
    • 1분

    기억 전달자

    황지유 로이스 로리의 <기억전달자> 속 조나스의 마을 사람들은 동일성을 중심으로 산다. 어렸을 땐 나이에 따라 옷을 입고 머리를 한다. 조금 크면 마을 위원회가 직업을 부여하고 결혼 상대와 키울 아이를 정해준다. 그렇게 모두 동일성을 유지하며...
    댓글 0개
    1
    2

    쓰다 대치 캠퍼스.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 417. 02.555.9975